<-- 구글 에드센스--> <-- 구글 연동--> <-- 네이버 연동-->
본문 바로가기

일본 생활

일본에서 취업비자 갱신하기

오늘은 일본에서 취업비자를 갱신하는 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쿄의 야경

 

 일본의 비자는 기본 1년,3년,5년의 기간을 받을 수 있고 서류에 받고 싶은 비자의 연수를 적을 수 있지만 반드시 적어낸 기간만큼 비자를 받을 수 없습니다.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제 경험으로는 중소기업은 처음 비자 받을 때 대부분 1년 대기업이나 상장기업은 3~5년을 받고 있습니다.(IT기업이나 고도 전문직은 중소기업이라도 3년 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바로 취업비자를 받기 위한 서류를 알아보겠습니다.

 

 

 

EX)기술 인문 지식 국제업무 비자

 

제일 신청 비율이 많은 「기술 인문 지식 국제업무」 비자를 예로 든다면 (IT ,무역 , 사무직 등)

카테고리 1-4로 신청할때 필요한 서류가 다른데요

 

                                                                  「카테고리 1」

                                                        재류자격갱신허가신청서 1부

                                                        사진 (증명사진 사이즈)

                                                        여권(여권 복사본 1부도)

                                                        재류카드 (재류카드 복사본 1부도)

                                                        가족증명서 1부

                                                        상장기업을 확인할수 있는 서류 1부

 

카테고리 1은 상장기업을 의미하며 상장했다는 것 자체가 국가에서도 신용이 있기 때문에 신청에 필요한 서류가 제일 적습니다.

 

                                                                  「카테고리 2」

                                                        재류자격갱신허가신청서 1부

                                                        사진 (증명사진 사이즈)

                                                        여권(여권 복사본 1부도)

                                                        재류카드 (재류카드 복사본 1부도)

                                                        작년도 원천징수서 서류 1부

                                                        가족증명서 1부

                                                        회사 법정 조서 합계표 1부

 

카테고리 2도 카테고리 1처럼 준비할 서류가 적은 편에 속합니다.

 

 

                                                                  「카테고리 3」

                                                        재류자격갱신허가신청서 1부

                                                        사진 (증명사진 사이즈)

                                                        여권(여권 복사본 1부도)

                                                        재류카드 (재류카드 복사본 1부도)

                                                        작년도 원천징수서 서류 1부

                                                        회사 법정 조서 합계표 1부

                                                        가족증명서 1부

                                                        주민세의 과세나 비과세 또는 납세증명서

 

 

 카테고리 3은 일반 중소기업들이 대부분인데요 회사 규모가 작고 국가의 신용도가 낮기때문에 정말로 이 사람을 쓸꺼고 불법적인 일을 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금을 제대로 내었는지 확인합니다(세금 낸것은 급료에서 나가는 경우가 많고 급여에 따라 세금액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파악가능하다고 합니다.)

 

 예시로 1월1일 기준으로 살고 있던 지역의 시약소나 구약소에서 납세 과세 비과세 증명서를 신청해야 함으로 1월1일에 오사카에 살다가 1월2일에 도쿄로 이사가서 납세증명서를 받을려고 한다면 도쿄가 아니고 오사카에 전화나 이메일로 서류의 신청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1월1일 기준이라고 해도 12월31일까지 오사카에 살다가 1월1일에 도쿄로 이사간다고 하면 도쿄에서 세금낸 기록이 없음으로 이것또한 오사카로 신청해야합니다(처음 하시는 분은 많이 복잡할꺼에요) 

 

「카테고리 4」는 「카테고리 3」과 같지만 아무래도 소기업이라 보니 신용도 면에서 불리한 면이 많아 추가 서류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예로 「이 회사를 가려고 하는 사유서」를 적어야 할 수 있습니다.

 

p.s

재류자격갱신허가신청서의 경우는 총 5장인데 1-2장은 본인이 4-5페이지는 회사에서 작성입니다.

주민세의 과세나 비과세 또는 납세증명서는 한장당 300엔 총 2장이라 600엔이 필요합니다.

작년도 원천징수서 서류는 회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회사 법정 조서 합계표도 회사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가족증명서는 록본기쪽 한국 영사관에 가서 1부 받고 일본어로 본인이 번역해서 2장 제출합니다.(번역 대행 안주고 본인이 해도 충분합니다.)

 

 이렇게 비자만료 3개월 전부터 서류를 제출할 수 있는데 보통 3주에서 2-3달 걸린다고 합니다만 저는 1년 비자 2번 3년 비자 한번 갱신 했었는데 전부 3-4주 안에 우편으로 비자 받으러 오라고 엽서가 와서 시나가와 입국 관리소(뉴칸이라고 읽음) 1층 편의점에 가면 4000앤 짜리  인지를 파는데 그걸 들고 비자를 받으로 2층으로 올라가서 재류카드와 엽서,4000엔인지를 교환 하시면 됩니다.(여권, 꼭 가져가세요.)

 

이렇게 비자 갱신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의문점이나 질문있으면 댓글에 달아주시면 답변 하겠습니다.

그럼 코로나 조심하시고 비자 갱신 화이팅 하세요. 그럼~

 

'일본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이직시 필요한 서류  (0) 2020.05.05